반응형
‘개헌’이라는 단어, 뉴스에서 자주 들리지만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하셨던 분들도 많으실 텐데요.
개헌은 우리 사회의 근본 틀을 바꾸는 매우 중요한 정치적 사건입니다.
이 글에서는 개헌의 정의부터 절차, 실제 사례, 그리고 개헌이 논의되는 이유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개헌이란 무엇인가요?
개헌(改憲)은 말 그대로 헌법을 개정하는 것, 즉 헌법의 내용을 바꾸는 것을 말합니다.
헌법은 국가의 최고 법이자, 국민의 권리와 국가의 기본 구조를 정한 법률이기 때문에
개헌은 매우 엄격하고 신중한 절차를 거쳐야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영어로는 Constitutional Amendment
- 국가 체제 자체를 바꿀 수 있는 중대한 행위
┃대한민국 헌법 개정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대한민국 헌법 제128조부터 제130조까지는 개헌 절차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습니다.
단계 | 설명 |
---|---|
1단계 | 대통령 또는 국회의원 과반수 발의 |
2단계 | 국회 재적 의원 2/3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 |
3단계 | 30일 이내 국민투표 실시 |
4단계 | 국민투표에서 유효 투표수 과반수 찬성 시 확정 |
┃우리나라 개헌 역사, 얼마나 자주 있었을까?
대한민국은 1948년 헌법 제정 이후 총 9차례의 개헌이 있었습니다.
- 1차 (1952년): 대통령 직선제 도입
- 2차 (1954년): 초대 대통령에 대한 중임 제한 철폐
- 3~6차 (1960~1962년): 내각제 도입, 군정 헌법 등
- 7차 (1972년): 유신헌법, 대통령 긴급조치권 강화
- 8차 (1980년): 대통령 간접선거제
- 9차 (1987년): 현행 헌법, 대통령 직선제 부활
1987년 이후 지금까지 38년째 개헌이 없었다는 점에서
현행 헌법이 시대 변화에 맞지 않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개헌이 논의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시대 변화 반영: 지방 분권, 경제민주화, 환경권 등 새로운 가치를 반영
- 권력구조 개편: 제왕적 대통령제 지양, 분권형 정부 모색
- 국회의 기능 강화: 입법부 권한과 책임 조정
- 지방자치 확대: 지역 자율성 및 주민 참여 확대
┃개헌에 대한 쟁점과 반론
찬성 논리 | 반대 논리 |
---|---|
시대 변화에 따른 헌법 정비 필요 | 정치권의 권력 구조 유불리 싸움 |
분권형 개헌으로 대통령제 폐해 극복 | 책임 회피 및 갈등 양산 우려 |
기본권 확대 및 인권 보장 강화 | 총선/대선 등 시기상 부적절 |
┃국민이 꼭 알아야 할 개헌 관련 키워드
- 직접민주주의: 국민투표로 헌법 개정 여부 결정
- 지방분권형 개헌: 중앙정부 권한 분산
- 권력구조 개편: 대통령제 → 의원내각제 or 이원집정부제
- 기본권 확대: 개인정보, 환경권, 성평등 등 반영
┃결론: 개헌은 모든 국민의 문제입니다
개헌은 단순한 법 개정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근본 원칙을 다시 설정하는 일입니다.
정치권만의 논쟁이 아닌, 국민 모두가 참여하고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이죠.
특히 앞으로 대한민국의 미래 30년을 위해
지속 가능한 헌법, 시대정신이 담긴 헌법을 만드는 과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권력의 재분배가 아니라
국민을 위한 헌법, 국민과 함께 만드는 개헌이 아닐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