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 2025. 3. 29. 11:51

장애인활동지원사 실제 월급 계산 방법, 근무시간별 수익 공개!

반응형

장애인활동지원사는 취업 문턱이 낮고 근무 조건이 유연해
중장년층이나 경력단절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은 직종입니다.
그러나 정확한 월급 계산 방법이나 시급 체계에 대해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정부가 지원하는 서비스인 만큼 급여 기준이 명확하고, 근무 시간에 따라 수익도 비교적 예측 가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년 기준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시급과 월급 계산법, 실제 수익 예시, 수당 지급 방식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요점 정리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기본 시급은 12,100원(2024년 기준)입니다.
  • 월급은 시간제 수당으로 지급되며 고정급이 아닙니다.
  • 야간·휴일·심야 근무 시 가산 수당이 적용됩니다.
  • 4대 보험 여부, 근무 형태에 따라 실수령액은 달라집니다.
  • 월 160시간 근무 시 약 190~220만 원 수준의 수입 발생이 가능합니다.

장애인활동지원사란?

 

공원에서 휠체어를 밀며 산책 중인 40대 한국 남성 장애인활동지원사


장애인활동지원사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장애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식사, 이동, 위생, 청소, 외출 보조 등 활동을 도와주는 직무입니다.

  • 국가 복지제도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기반 운영
  • 보건복지부·국민연금공단이 주관하는 공공 일자리
  • 별도 자격증은 없지만, 양성과정 수료는 필수

2024년 장애인활동지원사 시급 기준은?

기본 시급 12,100원
야간 근무 (22시~06시) +50% 가산 (18,150원)
휴일 근무 +50% 가산
심야+휴일 중복 +100% 가산 (24,200원)

장애인활동지원사 월급 계산 방법

장애인활동지원사는 시간제 근무로 월급이 정해져 있지 않고
총 근무 시간 + 각종 수당으로 월급이 결정됩니다.

기본 공식

월급 = 시급 × 총 근무시간 + 야간/휴일 수당

  • 하루 4시간 × 주 5일 (월 80시간) → 12,100원 × 80시간 = 968,000원
  • 하루 6시간 × 주 6일 (월 150시간) → 12,100원 × 150시간 = 1,815,000원
  • 야간 포함 160시간 (야간 40시간)
  • - 기본: 12,100원 × 120시간 = 1,452,000원
  • - 가산: 18,150원 × 40시간 = 726,000원
  • - 합계: 2,178,000원

수당 및 추가 혜택

  • 주휴수당: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지급
  • 4대 보험: 월 60시간 이상 근무 시 자동 가입
  • 경력수당: 일부 지자체에서 1년 이상 근속 시 지급
  • 명절 상여금: 기관에 따라 상이
  • 근로자의 날 유급 보장

실제 활동지원사 월급 후기 예시

  • “하루 5시간, 주 6일 일해서 한 달에 약 140만 원 받아요.”
  • “하루 8시간 근무에 야간 포함되니까 200만 원 넘기도 합니다.”
  • “주말·공휴일 위주로 일하면 적게 일하고도 수익이 커요.”
  • “무리 없이 근무시간 조절 가능해서 부업으로 딱입니다.”

활동지원사로 일하려면 어떻게 시작하나요?

  1. 장애인활동지원사 양성과정 40시간 수료 (지역 교육기관, 온라인 가능)
  2. 범죄경력 조회 및 건강검진 제출
  3. 활동지원기관(운영기관)에 이력서 제출 및 등록
  4. 기관에서 근무 일정과 대상자 매칭

결론 요약

장애인활동지원사는 시급제 일자리로, 근무시간에 따라 월급이 달라지는 구조입니다.
2024년 기준 기본 시급은 12,100원이며, 야간·휴일 수당 포함 시 최대 시급 24,200원까지 적용됩니다.
정규직과 같은 월급제가 아니지만, 시간 선택이 자유롭고 경력·학력 제한이 없어
중장년층이나 부업으로 찾는 분들에게 매우 적합한 직종입니다.
사회에 기여하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얻고 싶다면, 지금이 활동지원사를 준비할 최적의 시기입니다.
현명하게 시간과 수익을 설계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